🪨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2253N(순서대로 1, 2, …, N번 돌)개의 돌현재 1번 돌 위, 점프 하면서 N번째 돌로 이동을 하려 함이동은 돌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대로만 할 수 있음제일 처음에 점프를 할 때에는 한 칸밖에 점프하지 못함.이전에 x칸 점프를 했다면, 다음번에는 x-1칸 점프하거나, x칸 점프하거나, x+1칸 점프를 할 수 있음. 물론 점프를 할 때에는 한 칸 이상씩 해야 함.몇 개의 돌은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올라갈 수 없음.위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하면서 1번 돌에서 N번 돌까지 점프를 해 갈 때, 필요한 최소의 점프 횟수 구하기🧠 접근 방법이 문제는 위의 점화식을 사용하기 위해서 DP 테이블을 만드려면 인덱스가 헷갈립니다. 행 번호의 경우..
🧮 문제크기가 N*M인 행렬 A와 M*K인 B를 곱할 때 필요한 곱셈 연산의 수는 총 N*M*K번행렬 N개의 크기가 주어졌을 때, 모든 행렬을 곱하는데 필요한 곱셉 연산 횟수의 최솟값을 구하기🧠 접근 방법결국에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두 개의 큰 행렬의 곱셈 연산 횟수를 구합니다.참고 링크: https://youtu.be/8Ni1gaP35i8, https://youtu.be/8Ni1gaP35i8이 문제는 행렬을 배우지 못한 세대인 제게는 볼 때부터 매우 두려운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곱셈 연산의 수 공식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그것만 이용하면 충분히 풀 수 있을 것 같습니다.(지금 생각해보면...) 유튜브 영상을 몇 번 돌려보고 같이 공부하는 팀원에게 설명도 몇 번 해보고, 친구의 도움도 받아서..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9251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최장 공통 부분 수열), 모두의 부분 수열이 되는 수열 중 가장 긴 것을 찾기ACAYKP 와 CAPCAK => ACAK(4개)🧠 접근 방법문자열의 가장 마지막을 비교해서 같은 경우/다른 경우를 나누는 부문제로 분할(DP,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참고 영상: https://youtu.be/EAXDUxVYquY여러 블로그를 참고했지만 다들 DP 테이블에 값을 넣는 법을 주로 적어두어서 대체 DP 테이블의 규칙이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가 안돼서 받아들이지를 못했다. 그래서 강의를 찾아보았고 결국에는 최종 문자열을 작은 문자열로 쪼개서 생각한다는 DP적 사고 방식을 통해 나온 점화식으..
😵💫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무방향 그래프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하라그래프의 연결 요소(connected component)란?그래프 내에서 서로 연결된 정점들의 최대 부분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그래프 내에서 임의의 두 정점을 선택했을 때 그 두 정점을 서로 연결하는 경로가 존재하면 이 두 정점은 같은 연결 요소에 속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정점들의 집합은 각각 다른 연결 요소를 형성합니다.예를 들어 1과 2는 같은 연결 요소에 속하게 되고 1과 3은 다른 연결 요소에 속하게 됩니다. 위의 그래프에서는 주황색과 초록색, 두 개의 연결 요소가 존재합니다.🧠 접근 방법정점을 선택해서 해당 정점에서 이어지는 모든 정점을 탐색한다.(DF..
본격적인 시작!# 0주차 발제 - 미니 프로젝트가장 첫 주차는 미니 웹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것이다. 기숙사에 입소하고 몇 시간의 청소 및 정리 시간이 주어진 후에 발제가 시작되었다. 팀이 정해졌고, 바로 아이디어 구성 및 개발을 시작했다. 해커톤을 나갔을 때도 이렇게 짧은 시간(3일)동안 해본 적은 없어서 두려움이 앞섰다. 그리고 아직 여행 갔다 오고, 졸업식을 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마음이 붕 뜬 느낌이 들어서 걱정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이 무색하게 시작하자마자 걱정할 시간도 없어졌다.# 너의 코드는?우리 팀의 주제는 알고리즘 문제를 기록할 수 있는 웹 사이트였다. 주요 기능은 필수 포함 사항이었던 로그인 기능, 웹사이트에서 문제명을 크롤링하고 문제를 등록하는 기능, 등록된 문제에 답변을 등록하는 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